안녕하십니까. 피프입니다.
오늘은 PDA 무선 설정 방법에 대하여 글을 써보려 합니다.
국내 Window CE계열의 OS를 사용하는 PDA는 3가지의 무선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엠쓰리모바일,포인트모바일,대신,캐치웰등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Summit" 과 "ThirdpartyConfig"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엠쓰리모바일 같은경우, "Summit" 과 "Laird"라는 두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블루버드는 'BBS wifi manag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오늘은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Summit" 무선 프로그램에 셋팅에 대하여 설명 들리겠습니다.
첫번째로, 바탕화면에서 무선랜을 켭니다.
무선랜 켜기
노란색 별모양이 무선랜을 켜고, 끌수있는 아이콘입니다. 노란색 별모양을 클릭하면 2번 화면과 같이
메뉴 창이나오며, 여기서 '무선랜 켜기'를 클릭하면 3번과 같이 'Summit"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두번째로, 'Summit' 프로그램에서 무선중계기(AP)를 검색합니다.
무선중계기 검색
'Summit'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4번과 같은 처음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쪽 탭의 두번째 메뉴(Profile)를
선택합니다.
두번째 메뉴(Profile)를 선택 후 5번에 표시된 'Scan'을 클릭하여 주변 무선중계기를 스캔합니다.
가운데 창에 무선중계기의 목록이 표시되며, 사용하려 하는 무선중계기의 이름(SSID)를 클릭합니다.
세번째로, 무선 보안값을 설정합니다.
보안값 설정
사용할 무선중계기를 선택하면, 7번과 같이 프로파일을 만들것인지를 물어봅니다. 'OK'를 클릭한 후
보안값(보안 Key)을 입력해 줍니다. 입력 후 'OK'를 클릭하고 9번의 'Commit'을 클릭합니다.
네번째로, 생성한 프로파일을 활성화 시켜줍니다.
프로파일 활성화
보안값 설정과 저장(Commit)을 하였으면, 생성한 프로파일을 활성화 시켜줍니다. 10번 메뉴처럼
상단의 탭에서 'Main'을 선택 후 'Active Profile'에서 생성한 프로파일명(여기서는 'TEST')을 선택 합니다. 선택 후 'Status'에서 접속상태(접속=Associated, 비접속=UnAssociated)를 확인 합니다.
그 후 12번과 같이 상단의 탭에서 'Status'를 선택 후 정상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지 확인합니다.
다섯번째로,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수있는 테스트 합니다.
송수신 테스트
13번과 같이 상단의 탭에서'Diags'를 선택하여 송수신을 Test합니다. 1번 창에 'Gateway'를 입력하고, 2번의 'Start Ping'를 선택하여,
3번 창에 ping을 정상적으로 주고 받는지를 확인합니다.
13번 그림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통신을 하는 상태입니다.
만약, 3번과 같은 메시지가 나오지 않는다면, 4~9번의 설정을
다시 해보시고, 무선 보안값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Summit' 무선설정 방법을 말씀드렸습니다. 다음에는 'ThirdpartyConfig'라는 무선보안
설정방법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소한 PDA Setting > PDA 셋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SCAN.EXE 프로그램 설명 (0) | 2020.03.15 |
---|---|
PDA 무선설정_M3 PDA IP설정 (0) | 2020.03.14 |
PDA 무선설정_2탄 ThirdpartyConfig 무선 프로그램 설정 (0) | 2020.03.11 |
PDA 모델명 확인하는 방법 (0) | 2020.03.05 |
PDA 제조사별 서비스센터. (0) | 2020.03.04 |